Be Expert

[정보처리기사] 2020 제 1,2회 정보처리기사 필기시험 요점 정리 2 본문

정보처리기사

[정보처리기사] 2020 제 1,2회 정보처리기사 필기시험 요점 정리 2

psswrd 2020. 6. 5. 18:27

Ch3. 데이터베이스 구축

 

트랜잭션(Transaction) : 업무처리를 위한 하나의 논리적인 작업 단위로 SQL 묶음, 일처리 단위를 의미한다.

  • 특성 :
    • 원자성(Atomicity) : 트랜잭션은 완벽하게 수행 완료되거나, 전혀 수행되지 않아야 함.
    • 일관성(Consistency) : 트랜잭션이 그 실행을 성공적으로 완료하면 언제나 일관성 있는 데이터베이스 상태로 변환함.
    • 독립성(Isoliation) : 둘 이상의 트랜잭션이 수행될 때 어느 트랜잭션이더라도 다른 트랜잭션에 끼어들 수 없음.
    • 지속성(Durability) : 트랜잭션의 결과는 영구적으로 반영되어야 함.

스토리지 시스템의 구성

  • DAS(Direct Attached Storage) : 서버와 저장장치를 전용 컨트롤러와 케이블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방식
  • NAS(Network Attached Storage) : 서버와 저장장치를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방식
  • SAN(Storage Area Network) : 서버와 공유 스토리지 장치 또는 여러 장치 간에 구축된 스토리지 트래픽을 위한 네트워크. DAS의 빠른 처리와 NAS의 스토리지 공유 장점을 합친 방식이다.

분산 데이터베이스

: 여러 곳으로 분산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하나의 가상시스템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데이터베이스이다.

 목표

  • 분할 투명성 : 하나의 논리적 릴레이션이 여러 단편으로 분할되어 여러 사이트에 저장된다.
  • 위치 투명성 : 하용하려는 데이터의 저장 장소 명시가 불필요하다.
  • 지역사상 투명성 : 지역 DBMS와 물리적 DB 사이의 Mapping이 보장된다.
  • 중복 투명성 : DB객체가 여러 위치에 중복되어 있는지 알 필요가 없는 성질이다.
  • 장애 투명성 : 구성 요소의 장애에 무관한 트랜잭션의 원자성이 유지된다.
  • 병행 투명성 : 다수 트랜잭션 동시 수행 시 결과의 일관성 유지가 가능하다.

데이터 지역화 : DB의 저장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는 방법.

  • 시간 지역성 : 반복문에 사용하는 조건 변수처럼 한 번 참조된 데이터는 잠시 후에 또 참조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 공간 지역성 : 데이터 배열에 연속으로 접근할 때 참조된 데이터 근처에 있는 데이터가 잠시 후에 사용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칼럼(=속성, 애트리뷰트)의 유형

  • 기본 속성 : 해당 엔티티가 원래 가지고 있는 속성이다. (예: 이름, 전화번호)
  • 설계 속성 : 원래 업무에는 존재하지 않지만 시스템의 효율을 위해 추가되는 속성이다. (예: 과목코드, 지역코드)
  • 파생 속성 : 다른 속성에 영향을 받아 발생한 값이다. (예: 평균성적)

정규화

  1. 제1정규형(1NF) : 도메인이 원자값
  2. 제2정규형(2NF) : 부분적 함수 종속 제거
  3. 제3정규형(1NF) : 이행적 함수 종속 제거
  4. BCNF 정규형    : 결정자이면서 후보키가 아닌 것 제거
  5. 제4정규형(1NF) : 다치 종속 제거
  6. 제5정규형(1NF) : 조인 종속성 이용

물리 데이터 모델 품질 기준

  • 정확성 : 데이터 모델이 표기법에 따라 정확하게 표현되었고, 업무 영역 또는 요구사항이 정확하게 반영되었음을 의미한다.
  • 완전성 : 데이터 모델의 구성 요소, 요구사항 및 업무 영역에서 누락을 최소화한 것을 의미한다.
  • 준거성 : 제반 준수 요건들이 준수되었음을 의미한다..
  • 최신성 : 데이터 모델이 최신 상태를 반영하고 이슈 사항들이 반영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 일관성 : 다른 영역에서 참조, 활용되면서 모델 표현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 활용성 : 모델의 내용이 이해관계자에게 의미를 충분하게 전달할 수 있으면서 유연하게 설계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데이터 전환 , ETL(Extraction, Transformation, Loading)

: 조직 내외부의 복수 소스들을 데이터분석을 위한 DB(Data Warehouse) 내로 이동시키는 프로세스이다. 다양한 원천 시스템으로부터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Extract)하여 변환(Tranformate) 작업을 거쳐 목표 시스템으로 전송 및 로딩(Loading)하는 모든 과정이다.

 

파일처리기술 : 필요한 자료의 탐색을 쉽게하기 위해 파일을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기술을 말한다.

 

파일 구성의 분류

  1. 순차파일 = SAM(Sequential Access Method)
    • 물리적 공간에 순차 기록하는 방식
    • 변동사항이 크지 않고 기간별로 일괄 처리를 주로 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 공간효율 좋음
    • 처리속도 빠름
    • 시간 많이 소요됨
    • 검색 효율 떨어짐
  2. 색인 순차 파일 = ISAM (Index Sequential Access Method)
    • 색인을 이용해 순차 처리와 랜덤 처리가 모두 가능한 방식.
    • 일반적으로 자기 디스크에 많이 사용되며, 자기 테이프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 기본 구역 : 실제 레코드를 기록하는 부분.
      • 색인 구역 : 기본 구역에 있는 레코드들의 위치를 찾아가는 색인이 기록되는 부분.
      • 오버플로 구역 : 예비적으로 확보해 둔 부분.
    • 융통성 있게 처리 가능
    • 검색 효율 좋음
    • 추가, 삭제가 많으면 효율이 떨어짐
    • 액세스 시간이 떨어짐
  3. 직접 파일 = DAM(Direct Access Method)
    • 해싱 함수를 계산해서 물리적 주소를 직접 접근
    • 순서에 관계없이 저장
    • 액세스 시간 빠름
    • 공간효율 떨어짐
    • 연속적, 전체적 검색이 불가능
  4. 가상 기억 접근 방식 = VSAM(Virtual Storage Access Method)
    • 동적 인덱스 방법을 사용한 색인 순차 파일이다.
    • 레코드를 삭제하면 그 공간을 재사용 가능
  5. 역파일 (Inverted File)
    • 찾아보기 기능은 특정파일을 여러 개의 색인으로 만들어 작업하도록 구성한다.
    • 질의응답 시간이 단축되고 처리가 쉽다.
    • 색인의 각 항목의 길이가 가변적이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