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오라클클라우드
- k8s
- 쿠버네티스
- Reversing
- 정보처리기사
- 정처기기출
- 정보처리기사기출
- oraclecloud
- 역공학
- sbin
- 네트워크
- 리버스엔지니어링
- CKA후기
- 쿠버네티스자격증
- 리버싱
- 정처기
- 정처기필기
- 2020정보처리기사
- Network
- 2020정처기
- root디렉토리
- 리눅스#Linux
- 기사
- 쿠버네티스환경구축
- IP
- kubernetes
- 레지스터
- 정보처리기사필기
- TCP
- 프로토콜
- Today
- Total
목록네트워크 5
Be Expert

클라이언트(사용자)가 브라우저에 www.google.com을 입력하고 웹페이지가 화면에 나타나기까지의 과정을 정리했습니다. AP나 ISP, 프록시, 캐시 등 고려해야 할 점이 더 많지만 너무 복잡해질 것을 우려해 간단하게 정리했습니다. 클라이언트는 자신의 IP 주소, 처음으로 향할 라우터의 IP 주소, DNS 서버의 주소가 필요하다. DNS 서버의 주소는 DHC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얻는다. 아래는 DHCP request 전송 과정. DHCP를 운영하는 라우터에 접근하기 위해 DHCP request를 UDP(전송 계층), IP(네트워크 계층), 802.3 이더넷(데이터링크 계층)으로 캡슐화한다. 이더넷 프레임은 랜에서 broadcast 하여 DHCP 서버를 운영하는 라우터에 수신된다. 이더넷 프레임은 I..

OSI (Open System Interconnection) 7 Layer : 국제표준화기구에서 개발한 모델로, 네트워크에서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단계로 나눈 것이며 OSI 모형이라고도 한다. 2020/04/07 - [Network] - [Network] 프로토콜(Protocol), TCP/IP (Trasmission Control Protocol / Internet Protocol) ? 상위계층( 7 Application, 6 Presentation, 5 Session )과 하위계층(4 Transport, 3 Network, 2 DataLink, 1 Physical)로 구분 7 Layer Application (응용 계층) : 사용자가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준다. 통신 패킷들은 HTTP, ..

RTP (Realtime Transport Protocol) : 실시간 데이터 전송을 위한 표준 패킷 형식으로 오디오, 비디오 등 실시간 데이터를 멀티캐스트나 유니캐스트로 전송하기 적합한 기능을 제공한다. 내부적으로 UDP layer를 사용하는데, 특성상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해도, 수신측에서는 불규칙적으로 데이터를 받을 수 밖에 없다. RTCP (Realtime Transport Control Protocol) : 네트워크 사정에 따라 송신측과 수신측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다른 경우에 발생하는 문제점을 제어하는 프로토콜이 RTCP이다. 송수신측의 품질에 맞춰 데이터 속도를 올려달라는 요청을 하거나 낮춰달라고 요청하는 등의 방식이다. 즉, RTP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두 패킷데이터의 품질을 맞춰주는..

프로토콜(Protocol) : 컴퓨터나 원거리 통신 장비 사이에서 메시지를 주고 받는 양식과 규칙의 체계. 정리하면, 서로 다른 시스템에 존재하는 개체 간의 원활한 통신을 위한 약속이나 규칙, 규약을 말합니다. 인터넷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개체는 크게 호스트와 라우터로 나눌 수 있습니다. 호스트(host) : 최종 사용자(end-user) 응용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주체 라우터(router) : 호스트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여러 네트워크를 거쳐 전송함으로써 서로 다른 네트워크에 속한 호스트 간에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게 하는 장비 호스트와 라우터, 라우터와 라우터 그리고 호스트와 호스트가 통신하려면 정해진 절차와 방법을 따라야 하는데 이를 통신 프로토콜이라 부릅니다. 또한,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핵심 프로토..

cmd(명령 프롬프트)창에서 IP를 확인하기 위해 ipconfig 명령을 입력하면 다음과 같이 서브넷 마스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서브넷 마스크는 뭘까? 서브네팅(Subnetting) : 서브넷마스크를 알기 위해선 먼저 서브네팅 개념을 이해해야 합니다. 서브네팅은 네트워크 관리자가 네트워크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자원을 효율적으로 분배하는 것입니다. 여기서 자원을 효율적으로 분배한다는 것은 네트워크 영역과 호스트 영역을 분할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서브넷 마스크 : 필요한 네트워크주소만 호스트IP로 할당할 수 있게 만들어 네트워크 낭비를 방지합니다. 서브넷마스크는 기본적으로 1과 0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또한 1이 연속적으로 나와야하여 111101(X) 100001(X) 1110000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