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Reversing
- 정보처리기사필기
- 리버스엔지니어링
- 쿠버네티스
- 오라클클라우드
- 프로토콜
- 정보처리기사기출
- kubernetes
- 역공학
- 레지스터
- k8s
- 정보처리기사
- 2020정보처리기사
- IP
- 2020정처기
- CKA후기
- root디렉토리
- 쿠버네티스자격증
- oraclecloud
- 쿠버네티스환경구축
- 정처기
- Network
- 정처기필기
- sbin
- 정처기기출
- 기사
- 네트워크
- 리버싱
- 리눅스#Linux
- TCP
- Today
- Total
Be Expert
[Network]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 ? 본문
cmd(명령 프롬프트)창에서 IP를 확인하기 위해 ipconfig 명령을 입력하면 다음과 같이 서브넷 마스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서브넷 마스크는 뭘까?
서브네팅(Subnetting)
: 서브넷마스크를 알기 위해선 먼저 서브네팅 개념을 이해해야 합니다. 서브네팅은 네트워크 관리자가 네트워크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자원을 효율적으로 분배하는 것입니다. 여기서 자원을 효율적으로 분배한다는 것은 네트워크 영역과 호스트 영역을 분할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서브넷 마스크
: 필요한 네트워크주소만 호스트IP로 할당할 수 있게 만들어 네트워크 낭비를 방지합니다. 서브넷마스크는 기본적으로 1과 0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또한 1이 연속적으로 나와야하여 111101(X) 100001(X) 1110000 (O) 이런 식으로 표현해야 합니다. IP 주소에서 192.168.0.1/24 라고 하면 이는 C클래스이고 기본 서브넷마스크는 255.255.255.0 일 것입니다. 이는 10진수의 표현일 뿐 2진수로 변환하면 [ 1111 1111.1111 1111.1111 1111.0000 0000 ]입니다.
여기서 연속으로 1이 24개 있고 IP 뒤에 /24 라는 표현과 연결되는 것입니다. 1은 네트워크 영역으로 사용하겠다는 뜻이고 0은 호스트 IP로 사용하겠다는 뜻입니다. 즉 사용자에게 0이 표현된 부분만 호스트 IP를 할당할 수 있게 만들겠다는 뜻입니다.
브로드 캐스트 도메인
: 네트워크 장비 없이 통신할 수 있는 영역
정보처리기사 2019년 4월 기출문제 中
Q> 128.107.176.0/22 네트워크에서 호스트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서브넷 마스크는 ?
A> /22 는 서브넷마스크의 연속되는 1의 개수가 22개라는 것. 10진수로 변환하면 255.255.252.0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URL을 입력하고 인터넷에 접속하는 과정 (0) | 2020.06.16 |
---|---|
[Network] ICMP ? (0) | 2020.06.02 |
[Network] OSI 7 계층( 7 layer ) (0) | 2020.04.07 |
[Network] RTP / RTCP / RTSP ? (0) | 2020.04.07 |
[Network] 프로토콜(Protocol), TCP/IP (Trasmission Control Protocol / Internet Protocol) ? (0) | 2020.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