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kubernetes
- oraclecloud
- 레지스터
- 정보처리기사필기
- Network
- 네트워크
- Reversing
- 쿠버네티스자격증
- TCP
- 리버스엔지니어링
- 쿠버네티스환경구축
- 오라클클라우드
- 정보처리기사
- 역공학
- 쿠버네티스
- 정처기필기
- IP
- 정보처리기사기출
- 리눅스#Linux
- 정처기
- 2020정처기
- root디렉토리
- CKA후기
- k8s
- sbin
- 정처기기출
- 기사
- 프로토콜
- 2020정보처리기사
- 리버싱
- Today
- Total
목록프로토콜 2
Be Expert

RTP (Realtime Transport Protocol) : 실시간 데이터 전송을 위한 표준 패킷 형식으로 오디오, 비디오 등 실시간 데이터를 멀티캐스트나 유니캐스트로 전송하기 적합한 기능을 제공한다. 내부적으로 UDP layer를 사용하는데, 특성상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해도, 수신측에서는 불규칙적으로 데이터를 받을 수 밖에 없다. RTCP (Realtime Transport Control Protocol) : 네트워크 사정에 따라 송신측과 수신측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다른 경우에 발생하는 문제점을 제어하는 프로토콜이 RTCP이다. 송수신측의 품질에 맞춰 데이터 속도를 올려달라는 요청을 하거나 낮춰달라고 요청하는 등의 방식이다. 즉, RTP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두 패킷데이터의 품질을 맞춰주는..

프로토콜(Protocol) : 컴퓨터나 원거리 통신 장비 사이에서 메시지를 주고 받는 양식과 규칙의 체계. 정리하면, 서로 다른 시스템에 존재하는 개체 간의 원활한 통신을 위한 약속이나 규칙, 규약을 말합니다. 인터넷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개체는 크게 호스트와 라우터로 나눌 수 있습니다. 호스트(host) : 최종 사용자(end-user) 응용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주체 라우터(router) : 호스트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여러 네트워크를 거쳐 전송함으로써 서로 다른 네트워크에 속한 호스트 간에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게 하는 장비 호스트와 라우터, 라우터와 라우터 그리고 호스트와 호스트가 통신하려면 정해진 절차와 방법을 따라야 하는데 이를 통신 프로토콜이라 부릅니다. 또한,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핵심 프로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