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root디렉토리
- 정처기필기
- 2020정처기
- 레지스터
- 기사
- 정보처리기사기출
- 리버싱
- 프로토콜
- 2020정보처리기사
- 정보처리기사
- IP
- sbin
- 쿠버네티스자격증
- Reversing
- 리버스엔지니어링
- Network
- 정처기기출
- 쿠버네티스환경구축
- k8s
- CKA후기
- TCP
- 정처기
- 역공학
- oraclecloud
- 정보처리기사필기
- kubernetes
- 오라클클라우드
- 네트워크
- 리눅스#Linux
- 쿠버네티스
- Today
- Total
Be Expert
[Network] OSI 7 계층( 7 layer ) 본문
OSI (Open System Interconnection) 7 Layer
: 국제표준화기구에서 개발한 모델로, 네트워크에서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단계로 나눈 것이며 OSI 모형이라고도 한다.
상위계층( 7 Application, 6 Presentation, 5 Session )과 하위계층(4 Transport, 3 Network, 2 DataLink, 1 Physical)로 구분
7 Layer Application (응용 계층)
: 사용자가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준다. 통신 패킷들은 HTTP, DHCP, DNS, SSH FTP, SMTP, Telnet 등과 같은 프로토콜에 의해 모두 처리되며 응용 프로세스와 직접 관계하여 일반적인 응용 서비스를 수행한다.
-
사용 프로토콜 : HTTP, SMTP, DHCP, SNMP, FTP, telnet, NFS, RTSP
-
데이터 단위 : Message
6 Layer Presentation (표현 계층)
: 입출력되는 데이터에 대해 번역과 작업을 통해 일관되고, 서로 이해하고 호환될 수 있도록 변환한다. 인코딩, 디코딩, 확장자 변환 등의 작업들을 수행.
-
사용 프로토콜 : XDR, ASN.1, SMB, AFP
-
데이터 단위 : Message
5 Layer Session (세션 계층)
: 송수신 측 간의 관련성을 유지하고 대화 제어를 담당한다. 세션을 만들고 유지, 종료 등의 기능을 한다.
-
사용 프로토콜 : TLS, SSL
-
데이터 단위 : Message
4 Layer Transport (전송 계층)
: 종단간(End to End) 통신을 다루는 계층으로 종단간 신뢰성 있고 효율적인 데이터를 전송하며, 기능은 오류 검출 및 복구와 흐름제어, 분할/재조립 등이 있다. 대표적 프로토콜로 TCP, UDP 가 있다. 전송에 실패한 패킷을 다시 보내는 작업으로 신뢰성 있는 통신을 보장한다.
-
사용 프로토콜 : TCP, UDP, RTP, SCTP, SPX
-
데이터 단위 : Segment(TCP), Datagram(UDP)
3 Layer Network (네트워크 계층)
: 데이터(패킷)를 목적지까지 가장 안전하고 빠르게 전달하는 것이 주 업무. 이러한 기능을 라우팅이라 하고, 라우터가 이 기능을 수행한다. 경로를 선택하고 IP 주소를 정하고 그에 따라 패킷을 전달하는 것.
-
사용 프로토콜 : IP, ICMP, IGMP, ARP, RIP, BGP, IPX, CLNP
-
데이터 단위 : Packet
2 Layer DataLink (데이터링크 계층)
: 물리 계층을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의 오류와 흐름을 관리하여 안전한 정보의 전달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계층이다. 정보의 오류도 찾고 재전송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이 계층에서는 MAC 주소를 가지고 통신하며 전송되는 단위는 프레임이다.
-
사용 프로토콜 : Ethernet, PPP, HDLC
-
데이터 단위 : Frame
1 Layer Physical (물리 계층)
: 이 계층은 주로 기계적, 전기적, 기능적인 특성을 이용하여 케이블, 허브등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또한 단지 데이터를 전달할 뿐, 어떻게 보내는지, 무슨 데이터인지, 오류는 없는지에 대한 관심이 없다.
-
사용 프로토콜 :
-
데이터 단위 : Bit
**암기법 : 7계층부터 앞글자를 따서 [ 응 표 세 전 네 데 물 ]
+ 송신자 -> 수신자 로 가는 데이터의 전송은 7계층(송신자) ~ 1계층 ~ 7계층(수신자) 로 진행되며, 각 계층을 지날 때마다 데이터 앞에 헤더가 붙거나(송신자) 제거(수신자)된다.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URL을 입력하고 인터넷에 접속하는 과정 (0) | 2020.06.16 |
---|---|
[Network] ICMP ? (0) | 2020.06.02 |
[Network] RTP / RTCP / RTSP ? (0) | 2020.04.07 |
[Network] 프로토콜(Protocol), TCP/IP (Trasmission Control Protocol / Internet Protocol) ? (0) | 2020.04.07 |
[Network]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 ? (0) | 2020.04.07 |